티스토리 뷰
자랑스런 서울대생 가족입니다?!
갑자기 시끄러워졌다.
서울대 공식 모금 기관인 서울대발전재단이 ‘서울대생 가족’이라는
사실을 드러낼 수 있는 차량 스티커를 배포했다.
이와 관련해, 한 시민단체가 “천박한 발상”이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시민모임)은 19일
“이번 굿즈(기념품)는 입시 성공의 정점으로 치부되는 서울대 로고를 활용해, 그
보호자에게 ‘자식의 입시 성공은 부모의 업적임을 마음껏 과시하라’고 부추긴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시민모임은
“학벌주의에 찌든 사회에서는 특정 시기에 선점한 대학 이름으로 사회적 신분이 결정된다.
이런 사회에서는 능력과 노력보다 특권과 차별이 일상화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그간 인권위원회는 학벌주의를 조장하는 행태에 엄중하게 대처해 왔다”고 했다.
시민모임은 “대표적으로 한때 ‘특정 대학 합격 현수막 게시’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는 ‘특정 대학 외의 학교에 진학하거나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학생,
학부모 등에게 소외감을 주는 등 교육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수차례 권고한 바 있다”고 했다.
시민모임은 “우리 단체는 사려 깊지 못한 사업으로 논란을 자초한 서울대에 유감을 표하는 한편,
이와 같은 행태에 경계를 세우고자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한다”고 했다.
미국에서는 흔한 일
서울대 관계자는
“학부모들에게 ‘자녀 키워서 서울대 보내느라 고생하셨고, 또 감사하다’는 뜻이 담긴 기념품”이라며
“미 하버드대, 스탠퍼드대 등 유명 대학에서도 이 같은 스티커를 만든다”고 했다.
실제로도 미국은 유명한 아이비리그 외에도 각 주를 대표하는 주립대, 그리고 거의 모든 대학들이
차량 범퍼용 스티커를 판매한다.
이 자체가 애교심 뿐만 아니라 마케팅, 수익에서도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미국 고교에서도 이런 스티커를 제작, 판매하며 기금 수익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외국 고등학교나 대학에서는 흔한 기념품이다.
재학생 가족임을 나타내는 스티커를 비롯해 티셔츠·텀블러·자석 등을 제작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과거에 각 대학마다 로고가 들어가며 상징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기념품 및 문구류를 제작했었다.
서울대발전재단의 이번 사례가 각 대학으로 확산될까?
“서울대발전재단에서 서울대 가족분들께 학교와 관련된 다양한 소식을 안내해 드린다”며
“아래 신청하기 버튼을 통해 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SNU Family 스티커를 보내드린다”
고 안내했다.
신청자는 서울대생 가족임을 인증하기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이름, 자녀의 입학연도, 학과명과 연락처, 주소, 이메일 주소 등을 입력해야 한다.
신청하면 재단 측에서는 기념품으로 차량 스티커를 증정한다.
이 차량 스티커는 서울대 로고와 함께
PROUD PARENT(자랑스러운 부모),
I'M MOM(나는 엄마),
I'M DAD(나는 아빠)
등이 적힌 차량용 스티커를 배부했다.
재단 측은 스티커와 관련해 “서울대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고취하려는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