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람이 없을 때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며 보안관 역할을 해주는 인공지능(AI) 집사로봇
바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세계 IT가전박람회 'CES 2024'에서 삼성전자가 출시한 모델이다.
삼성전자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집사 로봇 ‘볼리’가 영상으로 소개되자
행사장 여기저기서 탄성이 터져 나왔다.
예고에 없던 볼리의 깜짝 등장에 일부 참석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스마트폰을 꺼내 들어 촬영하거나 박수를 보냈다.
공 모양의 볼리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해 진화한다.
일상 속 크고 작은 귀찮음과 불편함을 해소해 주고 사용자가 외출 중에는 집을 모니터링하고 홈 케어를 돕는데 삼성 이재용 회장은 독거노인을 위한 프로그램도 탑재해 달라고 임직원들에게 부탁했다.
볼리는 자율 주행을 통해 사용자가 부르면 오고,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 음성으로 명령을 수행한다.
볼리는 탑재된 카메라로 스마트싱스와 연동된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연결해 쉽고 빠르게 사물인터넷(IoT) 환경을 설정하고 집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집사 역할을 수행하는 집사로봇이다.
집 안을 이동하며 공간을 인식해 맵을 스스로 완성하고
가전과 여러 기기를 스마트싱스와 자동으로 연동해 쉽게 제품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전과 전자기기를 컨트롤하고, 아이와 반려동물을 돌봐준다.
AI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학습하기 때문에 비서 역할도 톡톡히 한다.
이 회장은 볼리 시연을 본 뒤 "갤럭시 웨어러블 제품과 연계하는 방안을 고민해 달라"라고 제안했다.
LG전자 역시 삼성전자에 못지 않다.
LG전자의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는 두 바퀴로 스스로 움직이는 AI 반려 로봇이다.
가전, IoT 기기를 연결하고 제어하는 기능부터 집 안 곳곳의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제품 전면에 달린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표정을 지으며 사용자와 소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집주인과 스마트홈 AI 에이전트의 대화 장면과 함께 주인의 목소리로 기분이나 건강 상태를 알아채고,
고양이가 화분을 깨뜨리자 화분이 깨진 장소를 사진 찍어 주인에게 보내 주는 시연도 진행됐다.
조주완 LG전자 사장은
“공감 지능은 고객이 삶을 마음껏 즐기도록 해 주는 기술과 책임감을 갖춘 AI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혁신을 이끄는 두 기업의 기술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