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계속 10만 달러 선을 두드리던 비트코인!
마침내 다시 10만 달러에 입성했다.
국내 비트코인 가격 역시 1억4천만 원을 돌파했다.
정국이 소용돌이치는 사이, 환율이 급등하면서 10만 달러 안팎을 보이고 있으나,
과거 1,300원 대 환율에서는 확실한 10만 달러를 지킨 셈이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7% 상승하면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한층 높인 결과이기도 하다.
여기에 발맞춰 며칠 간 조정기에 들었던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띄고 있다.
비트코인이 10만달러에 들어서자 이더리움을 포함한 주요 알트코인 역시 급등세를 타고 있다.
미국의 친 암호화폐 시장 정책에 따라 미국과 인접한 캐나다 역시 각 지자체 차원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친화적인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캐나다도 비트코인 친화도시!
우선 밴쿠버 시의회가 밴쿠버를 '비트코인 친화 도시'로 만들자는 제안을 내놨다.
캐나다 서부의 주요도시인 밴쿠버가 이를 위해 시 의회를 통해
비트코인 친화 도시를 위한 안건을 통과시켰다.
밴쿠버 시장은 비트코인으로 각종 세금, 수수료 등을 비롯한 공과금을 납부할 수 있는 재정 준비금으로 할 것을 주장했다.
과거 가 상화폐 채굴장의 예상 전력 소모량이 지나친 수준이라며 채굴장을 폐쇄한 캐나다 법원의 판결을 따져보면
꽤 신선한 주장임에는 틀림 없다.
미국의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에 대응해,
브라질도 18만 개의 비트코인을 확보
해당 법안은 브라질 하원에서 발의했으며, 주권 전략 비트코인 준비금 설립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 준비금은 통화 변동성과
지정학적 위험으로부터 브라질의 외환보유고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중요한 점은 이 법안을 지키지 않을 경우 처벌 조항까지 포함했다는 점이다.
이 법안에 따르면 브라질 정부는 최대 5%의 외환보유액을 비트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트코인의 관리는 브라질 중앙은행에서 관리하도록 했다.
이처럼 미국을 비롯해 각 국에서 이제 미국의 비트코인 친화적인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기세다.
보편적으로 비트코인을 준비금 형태로 확보하자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는 달러를 금 본위제가 아니더라도 상당량의 금을 비축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비트코인이 정부의 준비금 형태로 안전하게 예치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비트코인이 달러나 다른 화폐의 인플레이션과 유동성에 대응해 주는 강력한 수단으로 올라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