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앞으로 2년 동안 캐나다에 외국인 유학생들이 줄어든다는데요.
마크 밀러 캐나다 이민부 장관은 정부가 유학생에게 발급하는 학생 비자 건수를
2년간 일시적으로 제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캐나다 이민부는 "유학생 수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했습니다.
실제로는, 유학생으로 인한 의료비, 주거비가 올라 이게 사회 문제화 되기 때문이었는데요.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35%가 줄어든 약 36만 명에게만 비자를 발급할 예정입니다.
다시 2025년 학생비자 발급 상한선은 올해 말에 다시 발표될 예정인데요. 캐나다의 각 주의 인구수에 따라
비자 쿼터는 설정될 예정입니다.
캐나다 이민부는 비자 발급 한도의 일부를 먼저 할당하고 나서 교육기관에 다시 할당할 예정인데요.
캐나다로의 이민을 계획한 학부모는 다소 비상이 생겼습니다.
캐나다에서 유학중인 학생 수는 약 80만 명인데요. 앞으로 쿼터를 제한하게 되면 점차 유학생 숫자는 줄어들 전망입니다.
국적별로는 인도 유학생이 약 22만여 명, 중국 5만여 명, 필리핀 등의 순이었고 한국 유학생도 약 1만 여명 이상이었습니다.
이제 이들의 35%는 입국심사시에 캐나다에 들어오는 이민국 도장을 받지 못한다고 봐야겠네요.
이렇게 되면 한시적으로
약 10만 명 이상의 유학생들이 매년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이번 유학생 쿼터 제한에 갱신 비자는 포함되지 않는데요.
석박사 학위 및 초중등 교육 목적의 비자 신청자들도 역시 면제가 됩니다. 현재 학생 비자를 갖고 있는 경우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고학력자에게는 여전히 우대정책을 펼칠 예정입니다.
석사과정이나 대학원 수준의 프로그램을 졸업한 사람들에게는 3년짜리 취업 비자 신청자격을 줘서 취업 시장의 고급인력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아마 이 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이웃 미국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은 여전히 유학생들을 선호합니다.
나중에 미국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인력이 될 수 있고, 캐나다에 비해 사립학교 등의 재정자립의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층이
바로 외국 유학생들이기 때문입니다.
캐나다 정부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정책을 꾀하고 있는데요.
고용이 부족한 고급인력에게는 여전히 혜택을 주고
주택·의료 공급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신규 외국 유학생은 막는 정책,
국토는 세계 2위이면서 인구는 3,700만 명에 불과한
캐나다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겠지만, 미국은 또 다른 기회를 맞고 있어 보입니다.
'일상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S24 최초의 인공지능. 아이폰 뛰어넘을 수도, 인도 사전 완판 (0) | 2024.01.24 |
---|---|
노화 방지 바쿠치올 - 레티놀의 천연 대체제 (0) | 2024.01.24 |
트럼프 대선 직행? 경선후보 사퇴에 이미 게임 끝. (1) | 2024.01.22 |
이란 후원받는 후티 반군, 이란은 파키스탄에 화들짝 (0) | 2024.01.20 |
이란 파키스탄, 전쟁 중단 전격 합의 긴장 완화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