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올해 마지막을 수놓을 우주쇼 별똥별 잔치가 대한민국에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성우는 별똥별을 대량으로 관측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혜성과 소행성의 잔해가 지구 중력의 영향을 받아 대기 중으로 끌려 들어오면서 별똥별이 형성되는데요.
유성우의 정체는 혜성이나 소행성들의 찌꺼기라는 사실입니다.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타원 궤도를 그리며 지구의 안쪽 궤도로 진입할 때 지나간 자리에는 천체들에서 유출된 많은 우주 물질들이 남게 되는데요. 따라서 매년 주기적으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다가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지나간 자리를 통과하게 되면 그곳의 찌꺼기들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들은 유성의 비, 다시 말해 유성우가 되어 우리에게 보이는 것입니다.
구글에서 "유성우"를 검색하면 첫 화면에 별똥별이 살짝 지나가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미 구글에서도 그런 쏠쏠한 재미 하나쯤은 만들어 놓은거죠.
유성체들이 대기와 충돌 할 때 같은 방향의 유성들은 한 지점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입니다. 유성우의 이름은 여기에 위치하는 영역의 별자리이름을 따서 이름을 갖게 됩니다.
별똥별은 보통 한 계절에 한번쯤은 볼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눈에 띄는 유성우는 1년에 3~4차례 이상 나타납니다. 그래서 별똥별을 평생 한 번 보는 사람은 드문 편입니다. 과거에 별똥별들을 어려서부터 어른이 될 때 까지 열 차례 이상은 봤을 법 합니다. 특히 밤하늘의 맑은 공기 지역에서 살았던 분들은 그러한 추억을 더 많이 간직하고 있겠죠.
오늘날 유명한 유성우는 페르세우스자리, 사자자리, 오리온자리, 쌍둥이자리 유성우 등이 있습니다. 유성체들이 나오는 지점에 그 별자리들이 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져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별자리는 태양의 수백, 수천 배 먼 곳에서 거대하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우주에서는 그 일대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비치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관측하게 될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경우에는 소행성 파에톤 궤도에 떨어져 나온 부스러기들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파에톤에 대해 알아볼까요? 소행성 파에톤은 생각보다 우리와 친숙하게 된 기간이 그리 길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름이 약 6㎞인 파에톤은 1.4년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합니다. 이 파에톤은 1983년 10월 11일 발견된 소행성입니다. 이 파에톤의 특징은, 우리가 최초로 우주선에서 찍은 사진으로 발견된 소행성이라는 점입니다. 우리가 소행성이라 함은 보통은 탐사선이 직접 찾아내거나 전파망원경의 레이다로 관측합니다. 그리고 초대형 망원경의 광학계를 쓰기도 하죠.
우주는 너무 넓고 일일이 천문학자들이 찾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각 국에서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해서 아마츄어 천체학자들이 자발적으로 찾기도 합니다. 서로가 시간을 아껴 더욱 우주에 대한 탐험의 시간을 줄여보자는 취지입니다.
그만큼 우주의 시간은 길고 인류의 시간은 짧기 때문이 아닐까요?
비록 지름 6km에 불과해서 너무 작게 느껴지지만, 태양-수성간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점인 0.307 천문단우(AU)보다 훨씬 가까이 태양에 다가가기 때문에 사실 우리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소행성으로 여겨집니다.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들은 지금도 상당히 많습니다. 이 파에톤은 그들 중에서도 지구에 상당히 가까이 다가오기 때문에 지구위협천체(Potentially Hazardous Object, PHO)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지름 6km 의 소행성은 이런 위협 물체 중에서 가장 큰 편이라는 점입니다.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에서 이 파에톤의 움직임에 대해 유심히 관찰을 하는 이유입니다.
앞서 설명 드렸듯이 이 소행성은 태양과 수성 거리보다도 태양에 가깝게 접근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때는 파에톤의 표면이 최대 750도까지 가열됩니다. 이때 주위에 파편들이 튕겨져 나오는데 이러한 파편들의 일부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유성우를 만들게 됩니다.
이것이 이번 12월 14~15일 사이에 한반도에서 보이는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형성 과정입니다. 특히 이번에는 태양과 더욱 가까워져 파편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오게 되어 유성우들이 더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연말, 아름다운 별똥별을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아래 관련 글을 읽어보시면 우리나라 충북 천문대에서 이번에 하는 별똥별 쇼에 대한 정보를 더 보실 수 있을 거에요.
'재테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준 금리 인하 시사, 미국 정부와 대립각 (1) | 2023.12.14 |
---|---|
요소수 대란, 직접 만드는 법으로 가능할까? (1) | 2023.12.11 |
한화 장갑차 수출, K방산 독주 태세. 관련 펀드(ETF)도 급상승 (0) | 2023.12.08 |
자동차 요소수, 만들 기술이 없는 것도 아닌데 무엇이 문제인가? (0) | 2023.12.07 |
애플 아이폰 고의 성능 저하, 원고 7명만 7만원 씩 위자료 받는다. (0)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