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상 생활

이스라엘, 이번엔 후티다! 악의 축 차례대로 폭격

유익한 지식과 의견을 전달합니다 2024. 9. 30. 19:41
반응형

이스라엘이 이번엔 후티를 선택했다.

 

이스라엘 군이 29일 에멘의 후티 반군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다.

 

헤즈볼라 최고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 제거한지 이틀만

후티 반군 대변인 성명

 

관련 글 : 후티 반군이란? 이제 진짜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

 

후티 반군이란? 이제 진짜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

후티반군, 이러다가 미국과 영국을 비롯하여 각 국으로부터 거센 비난과 공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국제법을 무시한 선량한 상선들을 피랍하거나 공격하는 행위는 그 어떠한 형태로든 정당화

www.bizinsight001.com

 

 

예멘에 소재한 후티 반군!

 

이들은 가자 지구 무장단체 하마스, 헤즈볼라와 더불어 3대 저항의 축으로 불린다.

이란이 후원하는 반 이스라엘 동맹이며, 이들에 대해 이스라엘은 악의 축으로 부른다.

 

이스라엘군은 예멘 서부의 호데이다항(港)과 인근 라스 이사 항구의 후티 군사 시설을 공격했다.

 

이스라엘군은 바로 이어

“후티가 이용하는 항구 시설과 발전소를 공격했다”며

“후티는 이란이 지원하는 석유와 무기를 수입하는데 이들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란 만큼이나 먼 후티 반군지역

 

예멘은 이스라엘에서 약 1800㎞ 떨어져 있다. 이란에서 이스라엘은 1700km로 거리는 거의 비슷하다.

이스라엘군은 장거리 공격을 위해 전폭기와 급유기, 정찰기를 활용했다.

 

이스라엘 매체들은

“이번 공습은 지난 27일 벌어진 후티 반군의 이스라엘에 대한 탄도 미사일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이뤄졌다”고 전했다.

 

하루 전 이스라엘군은 이스라엘 중부 상공에서 예멘에서 날아온 미사일을 세 번째로 요격한 바 있다.

후티 반군은 당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미국에서 귀국하던 텔아비브 국제공항을 겨냥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노력에도 이스라엘 과감한 공격에 베팅

후티 반군 폭격지역

 

 

미국은 이스라엘에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전면전 가능성을 고려해 중동에 더 많은 병력과 장비를 배치할지 검토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9일 기자들을 만나 중동에서 전면전을 피할 수 있냐는 질문에

"반드시 그래야 한다"고 강조하며 네타냐후 총리와 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대선을 코 앞에 두고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인 것은 분명하다. 

이스라엘이 전혀 물러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조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나스랄라가 사살된 뒤 확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중동에서 미군의 태세를 조정하라고 국방부에 지시했다.

 

이에 대한 조치로 중동에 미군을 추가로 배치하기 위한 준비 태세를 강화했다고 미 국방부는 밝혔다.

 

현재 미 국방부의 판단은 "중동 지역의 미국인과 군대를 보호하기 위해 추가 파병이 필요하다"

입장으로 중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액션은 취해지지 않았다.

 

 

이란과 무슬림 국가의 전면전 개입 판단은? 글쎄다!

이란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

 

이란은 앞서 28일,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가 ‘나스랄라가 사망했다’는 헤즈볼라의 공식 발표 직후

 

“레바논과 자랑스러운 헤즈볼라 지원에 나서는 것은 모든 무슬림의 의무”라며

“사악한 이스라엘 정권에 맞서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에 대한 전면전 선언이자 보복 선언이다.

하지만 무슬림 일부국가의 수장들의 반응은

 

애도를 표명하면서도 선뜻 나설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이라크는 사흘 간 나스랄라에 대한 추도 기간을 갖는 성명을 냈고, 튀르키예 역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레바논과 레바논 국민이 이스라엘 대량 학살의 새 표적이 됐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인권 기구가 신속한 조치에 나서야 하고

이슬람 세계가 이런 공격에 더 단호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을 상대로 보복 공격을 감행한 곳은 현재로서는 후티 반군 밖에 없다.

그리고 이 후티 반군이 다시금 이스라엘의 포격 대상이 되고 있다.

 

 

 

관련 글 : 이스라엘이 원하는 것은 새로운 중동이다.

 

반응형